
2025년! 육아휴직, 얼마까지 받아봤니? 요즘은 '맞벌이' 부부가 정말 많은데, 아이가 태어나면 한 명이 직장을 쉬어야 할지, 아니면 돈이 더 중요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죠. 육아휴직 급여가 부족해서 걱정하는 분들도 계실 거고요. 그런데 2025년 9월 9일부터는 육아휴직 급여가 확 늘어난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특히 부부가 함께 육아휴직을 쓸 경우 최대 390만원까지 급여를 받을 수 있는 '6+6 특례'가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. 오늘은 이 특례가 정확히 뭔지, 어떻게 신청하는지, 그리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속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! 😊
2025년 육아휴직 '6+6 특례'란 무엇인가? 👪
기존의 '3+3 부모 육아휴직제'를 확대 개편한 것이 바로 '6+6 부모 육아휴직 특례'입니다. 2025년 9월 9일 이후 출생한 자녀를 대상으로, 부부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첫 6개월 동안 통상임금의 100%를 지급하는 제도예요.
2025년 9월 9일부터는 자녀 생후 24개월 이내에 부부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급여 상한액이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돼요.
사용 기간 | 지급률 (통상임금의 %) | 상한액 (부모 각각) |
---|---|---|
첫 1개월 | 100% | 200만원 |
2개월 | 100% | 250만원 |
3개월 | 100% | 300만원 |
4개월 | 100% | 350만원 |
5개월 | 100% | 370만원 |
6개월 | 100% | 390만원 |
누가, 어떻게 신청할 수 있나요? 📝
육아휴직 6+6 특례는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돼요. 만약 한 명만 사용한다면 기존의 일반 육아휴직 급여 규정이 적용되니 이 점 꼭 기억해 주세요.
- 신청 대상: 2025년 9월 9일 이후 출생 자녀의 부모
- 육아휴직 기간: 자녀 생후 24개월 이내에 부모 모두 사용
- 동시 사용 vs. 순차 사용: 두 가지 방식 모두 특례 적용이 가능해요.
- 신청 방법: 고용보험 홈페이지(www.ei.go.kr) 또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
육아휴직 급여 신청은 휴직 시작일로부터 1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가능하며, 육아휴직 기간이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 기간을 놓치면 급여를 받을 수 없으니 꼭 챙겨야 해요!
실제 사례로 보는 급여 계산법 💰
말로만 들으면 복잡하죠? 실제 사례를 통해 부부가 함께 육아휴직을 썼을 때 얼마나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 볼게요. (개인별 통상임금에 따라 실제 급여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)
사례: 맞벌이 부부 김민준(남), 박수현(여)
- 김민준 통상임금: 500만원
- 박수현 통상임금: 400만원
부부가 생후 6개월 이내 자녀를 위해 6개월간 육아휴직을 사용한다고 가정해볼게요.
개월차 | 민준 급여 | 수현 급여 | 합계 급여 |
---|---|---|---|
1개월 | 200만원 (상한액) | 200만원 (상한액) | 400만원 |
2개월 | 250만원 (상한액) | 250만원 (상한액) | 500만원 |
3개월 | 300만원 (상한액) | 300만원 (상한액) | 600만원 |
4개월 | 350만원 (상한액) | 350만원 (상한액) | 700만원 |
5개월 | 370만원 (상한액) | 370만원 (상한액) | 740만원 |
6개월 | 390만원 (상한액) | 390만원 (상한액) | 780만원 |
자주 묻는 질문 ❓
육아휴직 6+6 특례는 부모 모두에게 충분한 시간을 보장하고,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정말 좋은 제도인 것 같아요. 새로운 가족을 맞이하는 모든 가정에 이 글이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! 궁금한 점은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~ 😊